본문 바로가기
정책정보

2026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조건, 방법, 지원금 혜택 총정리

by 킹스블루 2025. 8. 21.

 

 

청년들이 가장 많이 찾는 정책 중 하나가 바로 청년내일저축계좌입니다.

일하는 중간계층 청년들이 사회에 안정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정책으로 특히 사회 초년생이나 중소기업에 다니는 청년에게는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가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6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신청조건, 신청방법, 지원 혜택을 하나씩 차근차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란?

청년내일저축계좌는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청년이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로 지원금을 매칭하여 함께 적립해 주는 정책입니다. 보통 3년 동안 꾸준히 저축하면 본인 저축액에 정부 지원금이 더해져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달 10만 원을 저축할 경우 정부가 최대 30만 원까지 추가 지원을 해주기 때문에, 3년 후에는 수백만 원 이상의 자산을 만들 수 있습니다.


2026년 신청조건

  • 나이 : 신청당시 만 19세 ~ 만 34세 (단, 수급자,차상위자,기준 중위소득 50%이하자는 만 15세~만39세까지허용)
  • 근로, 사업소득 : 현재 근로활동 중이며, 근로,사업소득이 월 50만원 초과~ 월 250만원 이하인 청년
  • 가구 소득 :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지원금 혜택

  • 매월 본인 저축액 10만원 이상시 + 정부 지원금 매칭 (중위소득 50%초과~100%이하 : 10만원 / 중위소득 50%이하 : 30만원)
  • 3년간 통장유지, 근로활동 지속, 교육이수, 자금사용계획서 제출시 적립금 전액 지급
  • 일부 지자체는 추가 지원금 제공 (근로소득공제금, 탈수급장려금, 내일키움장려금, 내일키움수임금 등)

2025년 개편후 자산형성지원사업 세부내용

 


신청방법

  1. 오프라인 신청
    •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접수(동일 시군구내 모든 주민센터에서 접수 가능)
     
  2. 온라인 신청
    •    복지로

2026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시 제출서류


적립중지

  • 일반 적립중지(6개월) - 실직, 본인 및 부양가족의 질병,사고 등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참여기간(3년)중 총 6개월간 적립중지 신청가능( 청년희망키움통장, 청년저축계좌 참여자는 최대 3회까지 분할하여 사용가능)
  • 군입대, 임신출산 퇴직, 육아휴직 적립중지(2년)

❓ 자주 묻는 질문(FAQ)

Q1. 대학생도 청년내일저축계좌에 가입할 수 있나요?
→ 네. 단, 단순히 대학생 신분이라는 이유만으로는 불가능하고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실제로 발생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아르바이트 소득도 인정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Q2. 프리랜서나 자영업자도 가입할 수 있나요?
→ 가능합니다. 프리랜서, 개인사업자 등도 소득 증빙이 되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소득 수준이 중위소득 기준 이하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Q3. 기존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한 사람도 중복으로 신청할 수 있나요?
→ 대부분의 자산형성 지원사업은 중복 가입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청년희망적금이나 청년희망적금Ⅱ에 가입했다면 중복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Q4. 매달 꼭 일정 금액을 납부해야 하나요?
→ 네. 일정 금액 이상을 꾸준히 납부해야 정부의 매칭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납부하지 않는 달이 생기면 지원금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Q5. 신청 기간은 언제까지인가요?
→ 매년 모집 공고를 통해 일정 기간 동안 신청을 받습니다. 2025년 모집기간은 25.5.2~25.5.21 이었기에 2026년에 신청가능합니다.


결론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청년의 자산 형성을 위해 국가가 직접 나서는 제도입니다. 자격만 된다면 단순한 저축보다 훨씬 큰 금액을 손에 쥘 수 있는 기회이므로, 2026년에는 꼭 신청을 추천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복지로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